관리 메뉴

CINEMATHEQUE DE M. HULOT

이해영 감독의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본문

영화일기

이해영 감독의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

Hulot 2015. 6. 24. 01:48



이해영 감독의 신작을 보았다.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에 대한 리뷰가 아닌 아주 '조심스런' 단상을 적고 싶다. 영화 전체를 설명할 생각은 없고, 내가 눌려버린 어떤 이미지에 대해 말하고 싶다. 그건 이상할 정도로 사람들이 말하지 않는 것으로, 아니 사실 말을 꺼내기도 힘들고 정확한 것도 아니다. 그럼에도 그것은 이미지에 놀란 피할 수 없는 '나-관객'의 경험에 속한다.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에서 내게 그것은 과다한 물의 이미지이며, 물에 잠긴 소녀들의 끔찍한 이미지이다. 이 이미지들은 놀라울 정도로 영화의 홍보성 자료들, 사진들에서는 결코 보이거나 찾을 수 없는 것들이다. 하지만 영화의 초반부터 끝까지 나를 공포에, 때로는 격한 슬픔에 잠기게 한 것들이다. 영화의 초반부 주란(박보영)과 연덕(박소담)이 호숫가의 물에 빠져들게 될 때. 이미 그 순간부터 물(속에 잠긴 소녀들)의 이미지는 내게 압도적인 현실감으로 다가왔다. 이야기를 따라가는 것이 그 때부터 쉽지 않았다. 1930년대라는 시대적 설정이나, 회자되는 레퍼런스 영화들(굳이 말하자면 레퍼런스와 관련해 나는 드 팔마의 <캐리>보다는 <분노의 악령Fury>에 이 영화가 더 근접하다고 생각한다)의 어떤 장르성에도 회수되지 않는 이미지들이다. 그 때 이미지는 이야기의 불가피한 결과가 아니라, 반대로 이 이미지들 때문에 어떤 다른 현실과 상황을 떠올리게 된다. 이 이미지가 불러오는 압도적인 현실감때문에, 어쩔 수 없이 나는 가장 끔찍하면서도 처참한 현실의 이미지를 보게 된다. 조심스럽게 말하고 싶지만, 그것은 4.16의 이미지이다. 이는 구로사와 기요시의 <리얼 완전한 수장룡의 날>에서 과다한 물의 이미지를 보고 3.11을 떠올리지 않을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앞서 말했듯이 나는 관객의 경험으로서 말하고 있기에, 이 이미지에 감독의 숨겨진 의도나 무의식이 있다고 말하고픈 것이 아니다. 이해영 감독은 이에 대해서 내가 아는 한, 어떤 인터뷰에서도 언급한 적은 없다. 하지만, 의도와 상관없이 이 이미지들은 크라카우어가 일찍이 지적하듯이 그 끔찍함 때문에 본능적으로 우리가 보기를 거부했던 다른 사건으로 우리의 눈을 돌리게 한다. 픽션의 이미지는 페르세우스의 방패에 비친 괴물의 형상처럼 우리가 그동안 회피했던 끔찍한 사건을 직시하게 만든다. 우리가 그것을 직접 받아들이기에 너무나 무서웠던 것들이다. <경성학교: 사라진 소녀들>에서 주란(박보영)이 보게 되는 것들, 혹은 의미심장한 영사기의 등장과 사진들, 레코드는 그런 점에서 이미 예시적이다. 말하자면 이 영화만큼 4.16 이후를 살아버린, 공포와 슬픔에 잠기게 한 영화를 아직까지, 나는 보지 못했다. 순전히 그것이 나-관객의 경험에 불과한 것일지라도 말이다. 하지만, "그것은 기록되었다. 그렇다면 나는 보아야만 한다"(다네).

'영화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열 번째 휴가   (0) 2015.07.28
우리들의 환대 - 버스터 키튼 특별전  (0) 2015.06.24
[오슨 웰스 백주년 회고전] 웰스 이후의 웰스  (0) 2015.05.13
시네마테크 재개관  (3) 2015.04.25
謹賀新年  (0) 2015.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