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NEMATHEQUE DE M. HULOT

[회고전] 프랑수아 트뤼포 - 영화를 훔친 사나이 본문

영화일기

[회고전] 프랑수아 트뤼포 - 영화를 훔친 사나이

KIM SEONG UK 2012. 6. 16. 19:28

 

 

 

프랑수아 트뤼포의 영화는 한 명의 영화작가가 얼마나 사랑을 가지고 그의 전 생애 동안 영화를 만들었는가를 보여준다. 사랑에 굶주린 트뤼포는 영화를 사랑했고, 영화로 만난 여배우들을 사랑했고, 사랑을 추구하는 영화를 만들었다. <400번의 구타>에서 부모로부터 버림 받은 앙투안 드와넬은 거리를 쏘다니다 몰래 우유를 훔쳐 마시는데, 벽에는 찰리 채플린의 <황금광 시대>의 포스터가 붙어 있다. 굶주림을 그린 위대한 희극왕에 대한 경배의 표현이다. 동시에 부모에게 버림받고 사회에서 소외되어 불량소년으로 떠도는 인물의 삶이 채플린이 창조한 부랑자 찰리의 삶과 만나는 순간이다. 트뤼포는 이런 식으로 상실의 삶에 새로운 삶을 부여하는 기획으로 영화를 만든 감독이었다.

 

트뤼포에게 영화는 수줍어하는 소년이 예쁜 소녀에게 고백하는 사랑의 감정 같은 것이다.그는 어린 시절 아벨 강스의 <잃어버린 천국>을 본 순간을 종종 떠올리곤 했다. 전쟁 시기, 극장은 군인들로 들끓었다. 전선으로 떠나기 전 여자친구들과 영화를 보러 온 군인들은 1차 대전의 비극을 그린 아벨 강스의 영화를 보며 눈물을 훔쳐내고 있었다. 그에게 어두운 극장은 감정의 제전이 벌어지는 장소이다. <앙투안과 콜레트>에서 앙투안은 극장과 유사한 음악 연주회장에서 건너편에 앉은 콜레트를 은밀한 시선으로 쳐다보고 그녀에게 이끌린다. 관음증에 가까운 시선처럼 보이지만 요점은 극장의 어둠에 몸을 맡긴 수줍은 소년이 이러한 보기의 방식을 빌어 간신히 자신의 감정을 드러내고 있다는 것이다. 트뤼포의 영화에서 우리는 영상을 점점 확대하거나 축소하는 아이리스 기법처럼 감정의 표현이 다양한 영화적 기제들, 효과들, 장치들을 경유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피아니스트를 쏴라>에서 소심한 찰리의 감정은 건반과 현을 두드리는 해머의 무감한 메커니즘과 아이러니한 관계를 맺는다. 그는 위대한 피아니스트이지만 사랑하는 여인의 살결, 자신의 삶을 부드럽게 터치하지 못한다. <앙투안과 콜레트>에서 앙투안은 음악회에서 소녀를 만나 사랑에 빠지는데, 음악과 소녀를 향한 사랑의 감정은 그가 묵묵히 도자기처럼 레코드판을 굽는 긴 장면과 미묘한 관계를 맺는다. <도둑맞은 키스>에서 앙투안의 소심함과 주저, 수줍은 고백은 낭만적인 편지로 전달된다. 트뤼포는 지하 수도관처럼 보이는 긴 파이프를 따라 낭만적인 감정이 담긴 편지가 전달되는 과정을 길게 보여준다. 내밀한 감정을 표현의 기계적 메커니즘을 통해 전시하는 이러한 장면들은 트뤼포에게 영화가 어떤 것이었는지를 이해하게 한다.

 

 

 

 

또 다른 강렬한 순간이 있다. <아메리카의 밤>에서 영화감독으로 분한 트뤼포는 밤마다 악몽에 시달린다. <400번의 구타>의 레오를 떠올리게 하는 꿈속의 소년은 조셉 루이스의 <건 크레이지> 속 소년처럼 거리를 걸어 나와 영화관에 걸린 오슨 웰즈의 <시민 케인>의 포스터와 사진들을 훔친다. <개구쟁이들>에서도 그렇지만 트뤼포는 이미지를 훔치는 소년에의 매혹을 여러 번 보여주었다. 거리의 소년은 그 자신의 순수한 이미지일 것이다. 소년이 훔치는 영화 포스터와 사진들은 그가 가져보지 못한 삶의 이미지들이다. 트뤼포는 삶에 관한 생각들 대부분을 영화라는 수단을 통해 얻었고, 영화의 역사, 과거와 현재를 시네마테크에서 배웠다고 고백한 감독이다. 영화는 그에게 삶보다 거대하고 매혹적인 것이었다.

 

(김성욱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디렉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