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고다르
-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 버스터 키튼
- 시네마테크 공모
- 오승욱
- 시네마테크
- 최후의 증인
- 서울아트시네마
- 에릭 로메르
- 아녜스 바르다
- 하워드 혹스
- 빔 벤더스
- 2008시네마테크의친구들영화제
- 박찬욱
- 배창호 영화감독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웹데일리
- 김성욱
- 배창호
- 오승욱 영화감독
- 페데리코 펠리니
- 존 카사베츠
- 오즈 야스지로
- 최선의 악인들
- 이두용
- 시네마테크 사태
- 류승완
- 시네바캉스
- 프랑수아 트뤼포
- 존 포드
Archives
- Today
- Total
CINEMATHEQUE DE M. HULOT
강좌-다큐멘터리, 에세이 영화 탐구 (2) 본문
지난 강의에 이어, 2월 19일부터 두 번째로 ‘다큐/에세이 영화’ 강의를 한다. 이번 강의에서는 1950년대 이후 새롭게 등장해 픽션과 다큐멘터리의 경계를 협상하고, 몽타주의 비평적 유용성을 재고하며, 영화 제작자의 지성과 개성을 새로운 방식으로 표현한 작품들을 살펴본다. 전후 시기에 시간, 기억, 역사적 트라우마를 탐구하며 에세이 영화를 확장한 알랭 레네와 크리스 마커를 시작으로, 다이어리 필름을 통해 개인적인 방식으로 편지와 일기를 공존시키며 자신의 경험과 삶을 전달하는 형식을 시도한 요나스 메카스, 그리고 영화와 역사, 기억, 이미지들에 대한 질문을 여행 일기를 통해 에세이적으로 시도한 빔 벤더스와 호세 루이스 게린의 작품을 살펴볼 것이다.
*2월 6일 현재 ,일치감치 수강생 모집이 끝나서 강좌는 마감되었습니다.
CINE LESSON
친밀한 삶: 다큐/에세이 영화 탐구 (2)
1강. 2/19 세상의 모든 기억: 시간, 기억, 역사적 트라우마 -알랭 레네와 크리스 마커
2강. 2/26 영화 일기와 편지의 형식: 필름 - 요나스 메카스, 에리세/키아로스타미
3강. 3/5 아카이브 프로젝트: 이미지의 유령 - 하룬 파로키
4강. 3/12 여행 일기: 빛을 향한 노스탤지어 -빔 벤더스, 호세 루이스 게린
2월 19일부터 매주 수요일 19:30
강사 | 김성욱 (영화평론가,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디렉터)
장소 | 아뜰리에 아셰프 https://www.instagram.com/atelier_achef/
'영화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진실과 정의 - 클린트 이스트우드의 <배심원 #2> (0) | 2025.01.07 |
---|---|
인간의 조건 - 브루노 뒤몽 회고전 (2) | 2024.12.30 |
다큐멘터리 영화의 배급 (3) | 2024.12.18 |
영화적 자화상 - 이명세 감독의 ‘더 킬러스‘ (0) | 2024.12.16 |
지나 롤랜즈와 존 카사베츠 (0) | 2024.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