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페데리코 펠리니
- 웹데일리
- 에릭 로메르
- 최후의 증인
- 이두용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오승욱 영화감독
- 하워드 혹스
- 존 카사베츠
-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 2008시네마테크의친구들영화제
- 존 포드
- 오승욱
- 시네마테크 사태
- 프랑수아 트뤼포
- 오즈 야스지로
- 영진위
- 박찬욱
- 배창호
- 시네마테크
- 최선의 악인들
- 버스터 키튼
- 서울아트시네마
- 김성욱
- 시네마테크 공모
- 류승완
- 시네바캉스
- 배창호 영화감독
- 고다르
- 아녜스 바르다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찰리 (1)
CINEMATHEQUE DE M. HULOT
시네클럽 4화 - 범용한 살인자, 혹은 트램프의 신화 재고
사회가 독재자를, 혹은 광적인 살인자를 만들어낼 수 있다는 채플린의 생각은 에 이어 (1946)에서 보다 극명하게 표현된다. 채플린은 를 ‘살인에 대한 희극’으로 평가했다. 이 영화는 거의 웃음이 없는, 차가운 냉소성이 느껴지는 블랙코미디로 매카시즘에 급격히 물들고 있었던 당시 미국의 편협성을 반영한다. 전원생활을 하는 베루도(채플린)는 모범적인 인물이지만 수십 년 일한 은행에서 해고되면서 연쇄살인마로 돌변한다. 그는 살인이 사업의 연장이라 여긴다. 급격한 시대의 변화가 그러한 인물을 만들어낸 것이다. 초라한 서민의 대변자였던 방랑자 찰리가 이제 결연히 무시무시한 현실의 세상으로 들어가 사람들에게 웃음을 선사하는 것이 아니라 공포를 조장한다. 그런데 이 영화가 섬뜩한 것은 그것이 당시의 현실 세계를 보다..
영화일기
2021. 4. 23. 17: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