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Tags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오승욱
- 하워드 혹스
- 이두용
- 박찬욱
- 최후의 증인
- 배창호
- 페데리코 펠리니
- 에릭 로메르
- 오승욱 영화감독
- 존 카사베츠
- 시네마테크 공모
- 아녜스 바르다
- 오즈 야스지로
- 서울아트시네마
- 고다르
- 시네마테크 사태
- 최선의 악인들
- 프랑수아 트뤼포
- 영진위
-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 2008시네마테크의친구들영화제
- 버스터 키튼
- 김성욱
- 웹데일리
- 류승완
- 배창호 영화감독
- 시네마테크
- 존 포드
- 시네바캉스
Archives
- Today
- Total
CINEMATHEQUE DE M. HULOT
드 팔마의 하이 맘 본문
오늘은 뉴 아메리칸 시네마의 세 감독의 영화를 연이어 상영하는 날이다. 13:00에는 스탠리 큐브릭의 '아이즈 와이드 셧', 16:10에는 마이클 만의 '미이애미 바이스'를 그리고 19:00에는 드 팔마의 '하이 맘' 상영과 상영후에 해설을 한다. 이중 아마도 가장 생소한 작품이 드 팔마의 '하이 맘'일 것이다.
드 팔마를 히치콕의 적자로만 이해하는 이들이 보기에는 그의 60년대 초기작들은 이상하게 보일 것이다. <그리팅스>, <하이 맘!>, 그리고 <디오니소스 69>와 같은 작품들은 히치콕보다는 거의 고다르의 <주말>이나 <남성, 여성> 같은 작품들의 영향 아래 있는 일종의 언더그라운드 영화이기 때문이다. 60년대, 뜨거운 젊음의 20대를 거치면서 고다르의 세례를 조금이라도 받지 않은 작가란 없을 테지만, 할리우드에서 이런 과격한 시도를 대놓고 한 작가는 찾기 쉽지 않다. 60년대 후반, 고다르의 영화가 베트남, 반전, 미제국주의, 맑스, 계급투쟁, 마오주의 등의 용어들을 떠올리게 했다면, 이 모든 것은 마찬가지로 드 팔마의 영화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JFK의 암살과 베트남 전쟁을 거친 드 팔마는 아메리칸 고다르를 꿈꿨던 것이다. <하이 맘!>은 이 모든 것의 예증이다.
<하이 맘!>의 서두는 핸드헬드 카메라로 한 남자의 일인칭 시점을 따라 움직이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주관적인 카메라의 활용은 관객들이 주인공과 동일화되도록 만드는데, 마침 이 남자는 건너편 아파트의 거주자들을 몰래 8미리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화를 제작 중에 있다. 남자 주인공은 로버트 드 니로가 연기한다(그는 베트남에서 돌아온 젊은이로, 그의 특권화된 연기는 마틴 스콜세지의 <택시 드라이버>를 일치감치 예고하고 있다). 영화 대부분의 내용은 주인공의 특권화된 관음증적 시선을 따라가지만, 그럼에도 시점과 형식은 인물을 넘어 여러 가지로 분산된다. 가령, 그가 카메라 숍을 방문하는 순간은 16미리 카메라를 만지작거리는 여인 라라의 시점으로 중계되며, 영화의 중간 중간에는 흑인운동을 알리는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화면이 삽입되어 있다. 드 팔마는 고다르가 <남성, 여성>과 같은 작품에서 했던 것처럼 시네마 베리테의 관습을 빌려와 다큐멘터리적 진실이 영화의 테크닉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자기반영적으로 보여준다. 크게 보자면 이 영화는 세 가지 구성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가 백인 중산계급의 아파트에서 일상을 보여주는 ‘주부 다이어리’이다. 고다르가 중산층의 일상을 르포르타주처럼 파악한 <그녀에 대해 알고 싶은 두세 가지 것들>이 연상된다. 두 번째는 시네마 베리테 스타일의 다큐멘터리로, 백인 중산계급에 대한 흑인들의 비전을 보여준다. 셋째는, 이 전체를 조망하는 주인공의 시선이 담긴 ‘관음증적 영화’이다.
이 영화는 예술영화, 포르노그래피, 아방가르드 간의 경계를 가로지르면서 60년대 미국 사회를 중산계급의 외설성과 흑인의 바깥의 시선으로 포착한 급진적이면서도 진지하게 유머러스한 영화다. 말하자면 <하이 맘>은 60년대 정치운동의 실패와 뉴아메리칸 시네마의 예고된 실패를 예감한 젊은 아메리칸 고다르'의 가장 급진적이고 파괴적인 영화다.
드 팔마를 히치콕의 적자로만 이해하는 이들이 보기에는 그의 60년대 초기작들은 이상하게 보일 것이다. <그리팅스>, <하이 맘!>, 그리고 <디오니소스 69>와 같은 작품들은 히치콕보다는 거의 고다르의 <주말>이나 <남성, 여성> 같은 작품들의 영향 아래 있는 일종의 언더그라운드 영화이기 때문이다. 60년대, 뜨거운 젊음의 20대를 거치면서 고다르의 세례를 조금이라도 받지 않은 작가란 없을 테지만, 할리우드에서 이런 과격한 시도를 대놓고 한 작가는 찾기 쉽지 않다. 60년대 후반, 고다르의 영화가 베트남, 반전, 미제국주의, 맑스, 계급투쟁, 마오주의 등의 용어들을 떠올리게 했다면, 이 모든 것은 마찬가지로 드 팔마의 영화에도 적용되는 것이다. JFK의 암살과 베트남 전쟁을 거친 드 팔마는 아메리칸 고다르를 꿈꿨던 것이다. <하이 맘!>은 이 모든 것의 예증이다.
<하이 맘!>의 서두는 핸드헬드 카메라로 한 남자의 일인칭 시점을 따라 움직이는 장면에서 시작한다. 주관적인 카메라의 활용은 관객들이 주인공과 동일화되도록 만드는데, 마침 이 남자는 건너편 아파트의 거주자들을 몰래 8미리 카메라로 촬영하는 영화를 제작 중에 있다. 남자 주인공은 로버트 드 니로가 연기한다(그는 베트남에서 돌아온 젊은이로, 그의 특권화된 연기는 마틴 스콜세지의 <택시 드라이버>를 일치감치 예고하고 있다). 영화 대부분의 내용은 주인공의 특권화된 관음증적 시선을 따라가지만, 그럼에도 시점과 형식은 인물을 넘어 여러 가지로 분산된다. 가령, 그가 카메라 숍을 방문하는 순간은 16미리 카메라를 만지작거리는 여인 라라의 시점으로 중계되며, 영화의 중간 중간에는 흑인운동을 알리는 텔레비전 다큐멘터리의 화면이 삽입되어 있다. 드 팔마는 고다르가 <남성, 여성>과 같은 작품에서 했던 것처럼 시네마 베리테의 관습을 빌려와 다큐멘터리적 진실이 영화의 테크닉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고 있음을 자기반영적으로 보여준다. 크게 보자면 이 영화는 세 가지 구성 부분으로 나뉜다. 첫째가 백인 중산계급의 아파트에서 일상을 보여주는 ‘주부 다이어리’이다. 고다르가 중산층의 일상을 르포르타주처럼 파악한 <그녀에 대해 알고 싶은 두세 가지 것들>이 연상된다. 두 번째는 시네마 베리테 스타일의 다큐멘터리로, 백인 중산계급에 대한 흑인들의 비전을 보여준다. 셋째는, 이 전체를 조망하는 주인공의 시선이 담긴 ‘관음증적 영화’이다.
이 영화는 예술영화, 포르노그래피, 아방가르드 간의 경계를 가로지르면서 60년대 미국 사회를 중산계급의 외설성과 흑인의 바깥의 시선으로 포착한 급진적이면서도 진지하게 유머러스한 영화다. 말하자면 <하이 맘>은 60년대 정치운동의 실패와 뉴아메리칸 시네마의 예고된 실패를 예감한 젊은 아메리칸 고다르'의 가장 급진적이고 파괴적인 영화다.
'영화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謹賀新年 (0) | 2015.02.20 |
---|---|
나의 영무자影武者, 무슈 윌로 (0) | 2014.12.19 |
우리들의 사랑에 무엇이 남았나? (0) | 2014.08.09 |
너무 많이 보았던 작가, 브라이언 드 팔마 (0) | 2014.08.09 |
미숙한 아이들 (0) | 2014.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