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CINEMATHEQUE DE M. HULOT

에너지와 감정 - 존 카사베츠 회고전 본문

상상의 영화관

에너지와 감정 - 존 카사베츠 회고전

Hulot 2012. 5. 6. 19:49

 

 

프랑스의 영화 잡지 ‘카이에 뒤 시네마’가 1989년 3월 존 사베츠에 관한 특집기사를 다룬 적이 있었다. 그의 사망을 기린 추모 특집판이다. 가장 흥미로운 글은 카사베츠를 자신의 진정한 스승으로 여긴 마틴 스콜세지의 간결한 에세이였다. 그는 카사베츠의 영화가 자신에게 미친 영향을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내가 영화를 공부하는 학생이던 시절에 나는 처음 <시민 케인>을 보았다. 영화를 보는 새로운 방식을 내게 가르쳐 주었다. 내가 겪은 두 번째 충격은 존 카사베츠의 영화 <그림자들>이었다. 이어 나는 트뤼포, 고다르, 샤브롤, 안토니오니를 발견할 수 있었다. 하지만 내게 가장 최고의 감독은 카사베츠였다. 그의 작품은 어떻게 에너지와 감정이 영화를 만드는 데 있어 모든 물질적 어려움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가를 보여주었다. 나는 오슨 웰즈의 모든 영화를 이해하기 위해 스무 번 정도를 보아야만 했었다. 하지만 카사베츠의 영화는 단지 한 번만 봤을 뿐이다. 내가 그 영화에 대해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그의 영화는 정감이 있고, 심리적으로 나를 감동시켰다. 내게 있어 카사베츠의 영화는 다양성과 현존, 삶 그 자체의 본성을 제시해 주었다. 그것은 내가 영화에서 삶을 포착하기를 바랐던 그러한 것이었다”.

 

 

레이 카니와 나눈 인터뷰를 읽어보면 존 카사베츠는 그의 영화경력 초기부터 인물의 마스크를 벗기고 배우의 연극적 퍼포먼스를 보여주는 일에 몰두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는 삶에서 가장 큰 실험이 드라마틱한 퍼포먼스만큼이나 무대화되고 인공적인 것이라 여겼다. 생생한 경험은 드라마틱한 경험만큼이나 관습의 산물일 수 있다는 것이다. 카사베츠의 영화에서 인물들은 누군가를 연기하기보다는 자신의 마스크를 벗으면서 마치 다큐멘터리적인 정밀함으로 얼굴을 노출시킨다. 제목부터 의미심장한 <그림자들>과 <얼굴들>에서 그는 마스크와 얼굴들을 드러내는데, 표면적으로는 즉흥적인 퍼포먼스처럼 보인다. 하지만, 엄밀한 의미에서 즉흥적인 것은 아니다. 그의 영화에서 즉흥성은 인물들의 제멋대로의 연기를 카메라에 담아낸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가령, <그림자들>의 즉흥성은 대략 18시간의 촬영으로 얻어낸 즉흥성이었다. <얼굴들>의 경우는 150시간의 테이크가 필요했다. 많은 횟수의 촬영이 그가 ‘완벽성’을 기하려 시도한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카사베츠는 반대로 ‘불완전성’을 추구한 작가였다.

 

 

한 편의 영화에 대해 ‘완성’이란 표현은 내러티브의 완결성, 이야기를 매듭짓는 것, 각본의 이야기를 얼마나 충실하게 영화로 구현해내는가에 달려있다. 이야기의 완성은 일종의 제도화 과정이다. 이야기가 그린 현실을 영화의 기법으로 얼마나 완성도 있게 구현하는가가 관건이다. 카사베츠는 다른 경로를 추구했다. 그는 작품의 완성에서 실패할 권리를 획득하려는 작가이다. 극작가이자 영화감독인 피터 보그다노비치가 존 카사베츠를 ‘오슨 웰즈 이래 가장 눈부신 미국의 이단적인 영화감독’이라 불렀던 것처럼 카사베츠의 영화는 워낙 독특해 무시당했고, 종종 어설프고 조잡한 영화로 비판 받기도 했다. 그의 영화에서 이미지의 연결은 대단히 불합리하고, 줄거리와 플롯은 느슨하고 인과관계는 불명확하다. 하지만 카사베츠의 영화에 담긴 즉흥성과 서투름은 삶의 은밀한 비밀에 근접하기에 어울린다.

 

 

1958년 존 카사베츠는 그의 첫 작품 <그림자들>을 시나리오나 콘티 없이 즉흥적으로 완성했다. 그 순간에 고다르를 위시한 유럽의 작가들, 일본의 오시마 나기사가 이와 비슷한 시도를 하고 있었다. 카사베츠는 과정과 생성의 작가다. 그의 영화의 마지막이 시작만큼이나 늘 열려있다는 점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가 영화를 끝낼 줄을 몰라서가 아니라 <사랑의 행로>에서 '사랑은 흐름이예요’라 말하는 것처럼 흐름의 가능성을 화면에 기입하기 위함이다. <그림자들>에서 카사베츠의 카메라는 티에리 주스의 표현처럼 마치 폭풍 안을 포착하는 것처럼 인물의 움직임을 따라가며 프리재즈처럼 즉흥적으로 감정과 리듬을 담아낸다. 살아있는 시간의 기입, 여기 그리고 지금을 보여주는 영화적 쇼트들, 불가능한 예측의 사건들, 카메라와 마찬가지로 대사의 즉흥성. 카사베츠의 영화에는 이러한 사건들로 가득하다. <영향아래의 여자>에서 주인공 지나 롤랜즈는 남편 피터 포크를 기다리다 알코올에 취해 감정의 흐름에 따라 다른 남자를 따라간다. 이 모든 과정은 그녀의 신체의 추락에 관한 퍼포먼스들처럼 보인다. 꽤나 길게 진행되는 스파게티 식사 장면들. 혹은, <사랑의 행로>에서 지나 롤랜즈가 동물들을 데리고 오빠의 집을 방문하는 순간. 공항에서 지나 롤랜즈가 도저히 감당할 수 없는 무게의 가방들을 들고 안내원에게 어설픈 불어로 심경을 털어놓는 순간들. 이러한 사건들은 모두 신체가 벌이는 퍼포먼스들로 카사베츠 영화에서 플롯을 넘어선 진정한 사건들이다.

 

 

 

 

 

카사베츠가 영화에서 시도한 것은 눈앞에서 생생하게 일어나는(그리고 쉽게 사라지는) 언어가 미치지 않는 사건들을 담아내는 것이다. 이는 언어나 개념의 매개로는 표현되기 힘들거나 숨겨지는 진실들이다. 너무 흔해서 거의 지나쳐 버리기 쉬운 일들, 몸짓들, 습관들이다. 식사를 하거나 술주정을 부리거나 애정을 구걸하거나 하는 진부하다고 생각되는 일들이다. 그의 영화에서 캐릭터는 시나리오에서 준비되는 것이 아니라 신체화된 효과로서 구축된다. 배우들의 몸은 그러므로 이중성 안에 놓여진다. 그들은 먼저 픽션의 기능 안에 놓여 있다. 다른 한편 배우들의 몸은 정의하기 어렵고 간파하기 힘든 감정의 과정들을 보여준다. 티에르 주스의 표현을 빌자면 이런 카사베츠의 목표는 흐름들을 보여주는 것이다. 이러한 흐름은 많은 모습들을 취한다. 언어의 흐름들, 목소리들의 흐름들, 사랑의 흐름들, 그리고 알코올의 흐름들. 카사베츠의 영화에서 가장 놀라운 것은 언제나 이러한 흐름들을 통해 감정의 순간들과 통찰의 섬광을 고양시키는 것이다. 카사베츠의 시학은 이렇듯 불규칙해 보이면서도 견고한 형식을 고안하는 것에 있다.

 

 

2002년 12월, 서울독립영화제의 일환으로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존 카사베츠의 영화 5편을 상영했었다. 그러니까 이번 '존 카사베츠 회고전'은 시네마테크의 10주년을 기념하는 일이기도 하지만 존 카사베츠의 영화가 서울에서 처음 필름으로 공개된 10년만의 일이기도 하다. 그 이후 간헐적으로 존 카사베츠의 영화를 몇 차례 상영한 적이 있지만 이렇게 11편의 전작을 상영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 가지 일화가 생각난다. 카사베츠가 세상을 떠난 몇년 후, 프랑스의 배우 제라르 드 파르디유는 카사베츠의 영화 5편의 판권을 구매해 프랑스에 개봉시킨 적이 있다. 그는 카사베츠의 열렬한 팬이었다. 제라르 드 파르디유 덕분에 카사베츠의 영화가 프랑스에서 재개봉할 수 있었고, 그 덕분에 또 많은 젊은 영화인들에게 카사베츠가 선망의 모델이 되었다고 한다. 그가 살아생전에는 누리지 못했던 영광이었다. 이제 우리가 그의 영향력을 충분히 느낄 시간이다. (김성욱 /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디렉터)

'상상의 영화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가 사랑한 엔딩신  (0) 2013.04.03
[회고] 내가 만난 스즈키 세이준  (0) 2012.09.11
[에디토리얼] 영화의 시민  (0) 2012.05.06
[리뷰] 버블 할리우드  (0) 2012.04.29
[특별전] 우치다 도무 특별전  (0) 2012.04.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