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오승욱
- 시네바캉스
- 존 카사베츠
- 류승완
- 페데리코 펠리니
- 프랑수아 트뤼포
- 최후의 증인
- 최선의 악인들
- 버스터 키튼
- 김성욱
- 배창호 영화감독
- 시네마테크 사태
- 시네마테크 공모
- 아녜스 바르다
- 고다르
- 오즈 야스지로
- 시네마테크
- 서울아트시네마
- 에릭 로메르
- 웹데일리
- 배창호
-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 영진위
- 박찬욱
- 존 포드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오승욱 영화감독
- 이두용
- 2008시네마테크의친구들영화제
- 하워드 혹스
- Today
- Total
CINEMATHEQUE DE M. HULOT
Image Book | 장 루이 셰페르의 『영화를 보러 다니는 평범한 남자』(이모션 북스) 본문
장 루이 셰페르의 『영화를 보러 다니는 평범한 남자』(이모션 북스)가 최근 번역출간되었다. 1980년에 첫 출간된 책이니, 근 40년만의 번역이다. 이런 시대에 축복같은 책이다! 당시 영화비평지 《카이에 뒤 시네마》가 당대의 사상가, 비평가들에게 영화에 대한 글을 쓰게 한다는 취지에서 기획한 책 중의 하나로, 기호학과 정신분석학, 텍스트 분석이 과도하게 지배하던 70년대 이론의 시기를 거친 후에 새롭게 영화에 대한 논의를 확장시키기 위한 기획의 일환에서 나왔다. 1980년대는 영화와 영화비평의 ‘종말’이 떠돌던 시대로, 셰페르의 책은 그런 비관적 생각을 넘어서서 영화예술과 사유 사이의 관계가 여전히 상호적인 충격, 떨림, 영향에 있어서 풍부하다는 사실을 보여준 동시대 출간된 몇 권의 책들과 궤적을 같이 한다. 이를테면, 롤랑 바르트의 <카메라 루시다>(80), 클로드 올리에의 <추억의 스크린>(81), 장 루이 뢰트라의 <노스페라투>(81), 노엘 버치의 <먼 곳의 관찰자>(82), 파스칼 보니처의 <비가시 영역>(82), 그리고 질 들뢰즈의 <시네마>(83)가 그러한 책들이다. 셰페르의 책은 비범한 텍스트 분석의 영화 이론서는 아니다. 차라리, 영화에 매료되어 영화를 보는 것이 일상적 삶에서 적지 않은 자리를 차지한 한 미술 이론가가 필름의 기억을 더듬어가며 잃어버린 시간을 찾는 회상의 책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그리하여, 40년전의 책이지만 셰페르의 책은 여전히 영화관을 찾는 평범한 이들에게, 하지만 이제는 그들이 극장을 찾는 일이 더 이상 평범하고 일상적인 것이 아닌 이 특별한 시대에 더 유의미하게 다가온다. 이 책은 영화(관)의 밤이라는 시간에서 깨닫게 되는 세계의 출현과 사라짐, 필름에 속하는 무언가를 관찰하는 것만이 아닌, 관객(나)자신의 기억을 되돌아보게 하는 미문의 시간 경험, 기억 경험에 대해 재고할 풍요로운 시간을 우리들에게 허락한다.
'상상의 영화관' 카테고리의 다른 글
Image Book - 공간의 종류들 - 조르주 페렉 (0) | 2020.11.16 |
---|---|
Image Book | 다니구치 지로 『산책』(이숲) (0) | 2020.10.08 |
베를린 키노 콜로세움의 폐관 (0) | 2020.08.18 |
파리 영화관 재개관 (0) | 2020.08.18 |
릴레이 칼럼 1 | 극장 이야기 (0) | 2020.04.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