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페데리코 펠리니
- 영진위
- 아녜스 바르다
- 배창호 영화감독
- 프랑수아 트뤼포
- 빔 벤더스
- 2008시네마테크의친구들영화제
- 하워드 혹스
- 고다르
- 시네마테크 사태
- 이두용
- 최후의 증인
- 류승완
- 오승욱 영화감독
- 김성욱
- 오즈 야스지로
-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 시네마테크 공모
- 오승욱
- 웹데일리
- 시네바캉스
- 존 포드
- 서울아트시네마
- 버스터 키튼
- 박찬욱
- 시네마테크
- 최선의 악인들
- 존 카사베츠
- 에릭 로메르
- 배창호
- Today
- 9
- Total
- 387,918
목록2023/03 (5)
CINEMATHEQUE DE M. HULOT

게임판에서 배제되지 않으면서 게임의 규칙을 파괴하는 일은 쉽지 않다. 예술시장에는 엄격한 배제 원칙이 작동한다. 1950년대에 시네클럽을 돌아다닌, 대체로 1930년대생인 누벨바그 세대는 앞선 세대의 ‘양질의 영화’를 비판하며 규칙 파괴를 부분적이지만 실행했고, 생 제르맹 데프레의 시네클럽을 마찬가지로 전전하며 상영의 스캔들을 불러온, 로메르와 누벨바그 세대 중간 쯤 세대인 이시도르 이주(1925), 모리스 르메트르(1926)는 ‘불일치’의 원칙을 내세웠고, 영화(산업)의 게임판에 들어가지 않으면서 “다니엘 다리외를 안나 카리나로 대체하는 것만으로는 영화 예술에 혁명을 일으킬 수 없다”고 말했다. 3월, 오늘부터 새로 시작하는 ‘프레임워크 -실험영화 월례상영회‘는 1950년대 이래로의 유럽 뉴웨이브의 다..

4월부터 고다르의 영화에 대해 네 번에 걸쳐 강의를 진행한다. 주로 60년대 고다르 작품들을 중심으로 하지만, 작품 분석만이 아닌 고다르의 질문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 이러한 질문은 후기 고다르 영화에서 보다 분명한 것들도 있어서 시기와는 무관하게 영화적 질문의 방식으로 고다르의 60년대 작품을 다루게 될 것이다. 어쩌면 각 시대별로 연속 기획처럼 진행될 수도 있을 강좌의 첫 번째다. 고다르는 한 시대에서 다른 시대로 이동하면서 영화와의 관계를 근본적으로 매번 변화시켰고, 그렇게 끊임없이 변하면서 동일성을 유지했다. *작고 아담한 아틀리에서의 강좌라서 이미 수강가능한 좌석은 현재 1좌석이 남아 있다고 한다. 강좌| 현대 생활의 작가-60년대 고다르의 질문들 고다르는 한 명의 위대한 작가가 아니라 영..

해롤드 로이드의 영화를 상영했던게 시네마테크의 낙원시절인 2007년 이맘때다. '미국 무성영화의 위대한 배우들'이란 제목의 특별전에서 해리 랭던, 버스터 키튼의 작품들과 함께 해롤드 로이드의 영화를 상영했다. 미국 무성영화의 위대한 배우들' 특별전은, 후일 거장이 되는 프랭크 카프라 등과의 협업으로 천진무구한 개구쟁이의 이미지로 스크린을 종횡무진 누빈 초기 영화의 스타 해리 랭던, 루이스 부뉴엘이나 살바도르 달리와 같은 20년대 초현실주의자들마저 열렬한 사랑을 고백했던 아크로바틱 개그의 위대한 배우 겸 감독 버스터 키튼, 그에 버금가는 속도와 서스펜스를 주특기로 채플린처럼 페이소스 넘치는 현대인 상을 그려낸 해롤드 로이드의 출연작들을 소개하는 귀한 기회입니다. 또, 이번 특별전에서는 더글라스 페어뱅크스와..

지난해에 이어, 2023년에도 실험영화 정기 상영회 ‘프레임워크Frameworks’를 3월부터 다시 시작한다. 2022년에는 ‘요나스 메카스 백주년 회고전’ 이후에 ‘아메리카 언더그라운드 시네마’를 소개하는 기획이었다면, 올해는 1950년대 이후 유럽 실험 영화의 특별한 작품들을 매달 소개하려 한다. 3월과 4월에는 레트리즘의 두 작가, 이시도르 이주의 (1951)와 모리스 르메트르의 (1951)를 상영한다. 이후, 5월과 6월에는 마르셀 아눈, 그리고 스페인 출신의 아돌포 아리에타의 매혹적인 영화를 상영한다. 아마 흥미로운 시간이 될 것이다. 몇년 전부터 상영을 계획했던 로버트 크레이머의 작품은 별도의 회고전으로 소개할 예정이다. 03.30. 19h30 영원과 욕설에 대한 논고 Traité de bav..

이번 ’자크 타티 회고전‘을 준비하면서 타티의 작품만이 아닌, ‘윌로와 친구들‘ 섹션에서 소개하고 싶었던 것은 코미디의 확산성이다. 하나, 둘, 셋, 넷…채플린, 키튼, 로렐과 하디, 막스 브라더스, 그리고…한 명의 캐릭터에서 시작해 모든 사람으로 확산되는 코미디의 역사가 있다. 타티는 주로 엑스트라나 아마추어 또는 무명 배우를 사용해 작가 자신 외에 다른 스타가 없는 영화를 만들고자 했다. 전파와 확산. 혹은 코미디의 민주주의. 그는 캐릭터를 연기하는 사람이 아니라, 인물의 코미디를 만들려고 했다. 점점 더 윌로를 적게 보고 평범한 사람들을 더 많이 보는 것. 그는 윌로를 자신의 작품에서 다른 이들로 복제 시켰을 뿐마 아니라, 다른 감독의 영화에 출연시키려했고, 이에 트뤼포는 드와넬 시리즈의 네 번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