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박찬욱
- 최후의 증인
- 시네마테크 공모
- 에릭 로메르
- 오승욱 영화감독
- 빔 벤더스
- 배창호
- 류승완
- 웹데일리
- 오즈 야스지로
-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 존 카사베츠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존 포드
- 시네바캉스
- 시네마테크 사태
- 버스터 키튼
- 오승욱
- 프랑수아 트뤼포
- 시네마테크
- 김성욱
- 고다르
- 하워드 혹스
- 2008시네마테크의친구들영화제
- 배창호 영화감독
- 아녜스 바르다
- 이두용
- 서울아트시네마
- 페데리코 펠리니
- 최선의 악인들
- Today
- Total
목록영화일기 (294)
CINEMATHEQUE DE M. HULOT

새가 지저귄다. 꽃이 피어 있다. 강아지가 뛰어논다. 고양이가 낮잠을 잔다. 강물이 흘러간다. 구름의 두둥실 떠간다… 영화 속 한 장면에서 아이의 점자책 읽기를 반복하며 아이를 떠올리는 순간이지만, 그럼에도 영화 마지막에 병원 침상에 누워 창밖 풍경을 보며 오토와 노부코가 작은 목소리로 읊조리는 장면은 이야기를 넘어서 원폭 이후에도 친밀한 미지의 일상을 그 자체로 긍정하려는, 이를테면 수용적 신체의 풍경에의 용해라고도 부를법한 순간을 떠올리게 한다. 이미 영화 첫 장면의 뭉게 구름과 오토와 노부히코의 매혹적인 용해가 이를 예시하고 있었다. 어쨌든 바람이 불고, 구름이 떠다니고 고양이가 낮잠을 잔다. 이 특별한 영화를 오늘 35mm 필름으로 마지막 볼 기회다. 35mm Film Last Screening ..

목적지를 더는 묻지 않을게요. 어쨌든 끝에 다다를 테고 나 역시 그걸 알 길이 없으니까요. 그러니까…길이 이제 막 시작했을 뿐이지만 여행은 이미 끝났습니다. 06.11. 15:30 매와 참새 Uccellacci e uccellini / The Hawks and the Sparrows (1966) 피에르 파올로 파솔리니 Pier Paolo Pasolini + 시네토크 “대중은 어디로 가는가 - 현대적인 방랑자와 길 위의 영화” 강의│김성욱(프로그램 디렉터)

5월 22일(금)부터 매주 금요일 저녁에, 영화 강의를 한다. 현실과 픽션의 경계점에 있는 영화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 예전 진행한 데쿠파주 수업처럼 구체적인 장면을 분석하겠지만, 작업 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또한 중요하게 다룰 생각이다. 영화 강좌| 숨겨진 예술, 삶의 영화 평범함, 일상, 말하자면 삶 속에 숨어 있는 영화 예술의 창조성에 관해 이야기할 것이다. 우리는 과정으로서의 창작 행위, 불확실성의 우연과 눈의 모험에 주목한다. 영화 작업은 불안정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를 바라보며, 그 리듬과 변동의 충실한 전사 과정이다. 이 강의는 현실의 질감 그 자체에서 독특한 스타일을 찾는, 현실과 픽션의 경계를 오가는 몇 가지 영화 모델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2021.05.25. - 2021.06..

소격동 지하 공연장을 임대해 극장을 시작한 게 2002년 5월 10일이니, 이제 곧 서울아트시네마가 이십 주년을 맞는다. 수익성 없는 극장이니 오래 못할까 싶어 정말 무리를 해서 일하고, 영화 상영하고, 책을 냈다. 하필 십 주년 몇 해 전에 이명박 정부의 퇴행적인 문화정책으로 시네마테크 공모가 강행되고, 공모 반대로 영진위 지원이 중단되면서, 반대로 오기로라도 버티자 결심해 극장을 계속해 지금까지 오게 됐다. 그때 정세 따라 현명하게 문을 닫았다면 이후 십 년의 어려움도 겪지 않았을 것이다. 게다가 개관 20년까지 함께 하자던 약속을 지키기도 전에, 두 해 전부터 조금씩 기억을 잃어가던 대표님은 지난 1월 5일 조용히 우리 곁을 떠났다. 그는 큰 역사를 만들 생각도, 성과를 만들거나, 좋은 자리에 오르..

베를린에 체류하던 해에 요나스 메카스 감독을 볼 수 있는 기회가 있었다. 키노 아스날에서 열린 ‘Edit Film Culture’ 기획전 개막일에 ‘리투아니아 여행의 추억’을 상영하면서 그가 참석할 예정이었다. 그는 상영 외에도 전시회, 강연, 그리고 그의 소중한 친구들과 함께 하는 특별한 콘서트에 참여한다고 했다. 이미 며칠 전에는 베딩에 있는 ‘사일런트 그린’에서 필름 컬처 잡지의 역사를 볼 수 있는 사진, 잡지, 편지 등과 셜리 클라크, 마야 데렌, 앤디 워홀, 그리고 전설적인 바바라 루빈의 작품을 상영하는 전시회가 열렸다. 바바라 루빈이 요나스 메카스에게 보낸 편지들, 그리고 요나스 메카스가 마틴 스콜세지 등과 나눈 필름컬처를 운영하기 위해 후원금을 요청하는 서한들, 피터 보그다노비치의 후원에 감..

이 영화의 과거가 없는 남자란 내면이 텅 빈 일종의 투명인간, 혹은 죽은 자를 보존하는 미라와 같은 것으로, 영화의 오랜 과거, 이를테면 움직이는 미라(바쟁)로서 (기차와 함께) 도착한 영화를 떠올리게 한다. 그리하여, 붕대가 풀리면서 최고의 이야기가 작동한다. 그 하나는 기억하지 못하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말할 수 없는 것이다. 하지만, 이 영화로 과거가 없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과거가 없음으로 해서 행복한 공동체를 구성할 수 있는 새로운 기회가 마련될 수 있는 것일까. 이를테면, 컨테이너 마을 마당에서의 상실되고 손상된 과거 없는 영혼들의 연약하고 위태로운 공동체의 모습에서. 그리고 시간이 지나면서 잊혀진 카페와 바, 지나간 노래들에서. 이 영화에 등장하는 바는 일찍이 헬싱키에 있던, ..

지난해 말부터 아핏차풍의 신작 가 뉴욕을 시작으로 한 도시에서 다른 도시로 일주일간 영화를 상영하는 ‘로드쇼’ 방식의 배급으로 관객과 만나고 있다. 배급사인 네온(Neon)은 이 영화를 VOD로 출시할 생각이 없으며 독점적으로 극장에서만 상영할 계획이라 말했는데, 아핏차풍의 말을 더하자면 이는 더 많은 관객에게 다가가기 위한 방법이다. 평범한 방식으로 영화를 개봉하면 금세 잊혀지고 주요 도시에 사는 사람들만 봤을 거라는 판단이다. 그러니 로드쇼 투어는 더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가려는 시도다. 물론 스트리밍 없이 극장에서만 상영하겠다는 계획에 반발하는 이들도 있었다. 아핏차풍은 그런 이들의 반응에 즉각적 소비, 순간적 만족감을 얻으려는 것이 현대 생활의 일부이지만 그럼에도 조금만 더 인내심을 갖길 원했다. ..

뒤늦게 일본 영화 제작자 연맹이 발표한 영화산업통계를 읽고 있었다. 직업적 관심사로 매년 초에는 이러저런 전년도 각 나라 영화 산업 통계들을 살펴보곤 한다. 지난 1월 25일 발표한 일본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일본 영화 관객수는 1억 1천4백8십만명으로 전년 대비 108.2% 증가했다고 한다. 흥행수입으로 보자면 코로나 이전인 2019년의 62%에 달한다. 영진위 통계 자료를 보면 한국의 경우 2021년 총 6,052만 명의 관객이 영화관을 찾았다. 2020년 관객 수가 5,952만 명이니, 소폭 상승했다. 코로나 이전 2019년 관객수는 2억 2668만명이었다. 프랑스 CNC 통계를 보면 2021년 프랑스 영화 관객수는 9600만명으로, 2020년 6500만명에 비해 47.4% 상승했다. 4개월 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