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시네마테크 사태
- 고다르
- 오승욱
- 페데리코 펠리니
-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 시네바캉스
- 이두용
- 오승욱 영화감독
- 배창호
- 에릭 로메르
- 오즈 야스지로
- 시네마테크
- 시네마테크 공모
- 서울아트시네마
- 최후의 증인
- 영진위
- 류승완
- 2008시네마테크의친구들영화제
- 웹데일리
- 하워드 혹스
- 존 카사베츠
- 박찬욱
- 프랑수아 트뤼포
- 배창호 영화감독
- 아녜스 바르다
- 최선의 악인들
- 버스터 키튼
- 김성욱
- 존 포드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Today
- Total
CINEMATHEQUE DE M. HULOT
영화강좌 | 숨겨진 예술, 삶의 영화 본문
5월 22일(금)부터 매주 금요일 저녁에, 영화 강의를 한다. 현실과 픽션의 경계점에 있는 영화들을 중심으로 살펴보려 한다. 예전 진행한 데쿠파주 수업처럼 구체적인 장면을 분석하겠지만, 작업 방식에 대한 이야기를 또한 중요하게 다룰 생각이다.
영화 강좌| 숨겨진 예술, 삶의 영화
평범함, 일상, 말하자면 삶 속에 숨어 있는 영화 예술의 창조성에 관해 이야기할 것이다. 우리는 과정으로서의 창작 행위, 불확실성의 우연과 눈의 모험에 주목한다. 영화 작업은 불안정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세계를 바라보며, 그 리듬과 변동의 충실한 전사 과정이다. 이 강의는 현실의 질감 그 자체에서 독특한 스타일을 찾는, 현실과 픽션의 경계를 오가는 몇 가지 영화 모델에 대해 살펴볼 것이다.
2021.05.25. - 2021.06.29.
매주 수요일 PM 7:30
1강. 5/25. 내러티브 수동성: 중단과 절단 -브레송, 피알라, 안토니오니, 키에슬로프스키, 구로사와 기요시 등
2강. 6/1. 커플의 다이내믹: 삼각관계의 영화사- 장 그레미용, 키라 무라토바, 필립 가렐 등
3강. 6/8. 말하는 이미지: 파롤의 미장센 - 장 으스타슈, 에릭 로메르, 장 뤽 고다르, 올리베이라 등.
4강. 6/15. 영화적 시간: 기록과 기억, 기다리는 시간 -빅토르 에리세, 아녜스 바르다, 요나스 메카스-게린, 벨라 타르 등
5강. 6/22. 현실의 기록: 픽션의 다큐멘터리 - 리베트, 피알라, 카사베츠, 키아로스타미, 미구엘 고메스 등.
6강. 6/29. 계절과 기후의 감각: 후치예프, 벨라 타르, 누리 빌게 제일란, 데이빗 핀처, 홍상수 등.
강사ㅣ김성욱 (영화평론가)
장소ㅣ아뜰리에 아셰프 (마포구 망원로3길 48 1층)
정원ㅣ
수강료ㅣ15만원 (총 6강)
문의ㅣDM @atelier_achef
'영화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도 가네토의 어머니 (0) | 2022.06.25 |
---|---|
길은 시작했지만, 여행은 이미 끝났다 (0) | 2022.06.11 |
추모의 밤 - 시네마테크의 후견인 故 최정운 (0) | 2022.05.09 |
잠깐의 친밀함과 행복 - 요나스 매카스 100 ! (0) | 2022.04.14 |
과거가 없는 남자 (0) | 2022.04.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