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웹데일리
- 버스터 키튼
- 시네마테크 사태
- 최후의 증인
- 빔 벤더스
- 존 카사베츠
- 배창호
- 최선의 악인들
-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 이두용
- 김성욱
- 시네바캉스
- 류승완
- 오승욱 영화감독
- 배창호 영화감독
- 오승욱
- 프랑수아 트뤼포
- 페데리코 펠리니
- 서울아트시네마
- 고다르
- 하워드 혹스
- 아녜스 바르다
- 2008시네마테크의친구들영화제
- 오즈 야스지로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에릭 로메르
- 박찬욱
- 존 포드
- 시네마테크
- 시네마테크 공모
- Today
- Total
목록전체 글 (483)
CINEMATHEQUE DE M. HULOT
영화관의 미래가 밝다고 생각하시나요? 열 평 남짓한 극장 로비에 앉아 질문하던 이들에게 그가 되물었다. 창문 너머로 느릿느릿 해가 저물고 있었다. 잠시 동안 침묵이 흘렀다. 그가 다시 물었다. 영화의 미래가 밝다고 생각하시는 분 있나요? 방금 전까지 우리는 일본 영화관의 폐관에 대해 이야기를 나누던 중이었다. 서너 명의 사람들이 손을 들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그가 말을 이었다. “대체로 극장의 미래가 어둡다고 생각하시는군요. 이게 바로 방금 전의 질문에 대한 제 대답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예의 젊고 활력 넘치는 목소리에 안경 너머 부드러운 눈빛은 여전했다. 정말 묻고 싶은 것이 있다고도 했다. “영화관을 운영하면서 무엇이 가장 큰 고민이고, 어떤 일이 괴로웠나요? 활동하면서 즐거운 일이 무엇이었나요..
부산의 예술영화관 국도예술관이 오늘 1월 31일 마지막 상영후 문을 닫는다고 한다. 건물주로부터 임대계약 연장 불가 통보를 받았다고. 한국에서라면 유독 흔한 일이다. 우리도 겪었던 일이다. 중구 남포동 옛 국도극장에 있던 국도예술관. 지금 그 자리는 CGV남포가 되었고, 2008년 6월 남구 유엔기념공원 근처에 있는 가람아트홀로 이전해 십년을 채우지 못하고 폐관한다. 이 또한 한국에서는 유독 흔한 일이다. 오늘 총회에 참석했던 지역 시네마테크 관계자들은 내일 극장의 마지막을 함께 할거라 한다.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개막일이 오늘이라 멀리서나마 폐관의 아쉬움을 마음으로만 보낼 뿐이다. 사람들과 헤어져 집에 돌아온 열시 무렵, 사무국장에게서 동파된 수도관에서 물이 흘러 서울아트시네마 사무실 바닥이 ..
올해의 친구들에게는 공통 주제를 제안했다. ‘저주받은 영화들’을 추천해 달라 부탁했다. 장 콕토가 제안한 이 개념은 대중들에게 제대로 보이지 않는 영화들을 겨냥한 말이다. 그렇다고 이 말뜻이 1940년대의 문맥 그대로 지금 통용된다고는 말할 수 없겠다. 시네마테크 친구들이나 관객 선택의 목록에서도 딱히 일관성이 보이지는 않는다. 어떤 영화들은 제목조차 낯설지만 다른 영화들은 잊고 있었을 뿐 알려진 작품들이다. 한 번도 상영된 적 없는 무성영화가 있는가 하면 근작들도 있다. 저열한(?) 장르영화나 B영화의 목록을 발견할 수 있지만 거대 예산의 작품들도 있다. 추천자들 각자의 취향이 고려됐을 것이다.기획자로서 물론 기대하는 것은 각자의 취향을 넘어선 새로운 영화사의 배치이다. 가령, 저주받은 영화는 당시 ..
일시│2017년 4월 13일(목) ~ 5월 7일(일)주최│(사)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 후원│영화진흥위원회, 서울시, 서울영상위원회, 주한프랑스대사관, 주한프랑스문화원 장소│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종로구 돈화문로 13 서울극장 1층) 문의│02-741-9782 www.cinematheque.seoul.kr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는 4월 13일(목)부터 5월 7일(일)까지 “연애의 모럴 - 에릭 로메르 회고전”을 개최합니다. , , 등 에릭 로메르의 연출작 20편과 로메르에 대한 다큐멘터리까지 모두 21편의 영화를 상영하는 이번 회고전은 에릭 로메르의 작품 세계에 가까이 다가갈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될 것입니다. 삶의 아이러니에 대한 날카로운 통찰과 너그러운 시선을 동시에 보여주었던 로메르의 매력을 느껴보시..
서울아트시네마 개관15주년 기념 시네마테크 해외초청 워크숍 “시네마테크 건립, 어떻게 할 것인가” (사)한국시네마테크협의회는 현재 진행중인 서울시의 시네마테크 건립과 관련해 해외 관계자를 초청해 시네마테크 건립과 운영현황에 대해 논의하는 워크숍을 진행합니다. 3월 15일(수) 14:00 - 17:00 워크숍1 ‘영화의 미래를 위한 건축: TIFF Bell Lightbox’ 발표 | 피어스 핸들링 TIFF Bell Lightbox 대표 진행 | 김성욱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디렉터 토론 및 질의 응답 3월 16일(목) 14:00 - 17:00 워크숍2 ‘프로그램의 재발명: 영화센터의 현황과 전망’ 발표 | 피어스 핸들링 TIFF Bell Lightbox 대표 진행 | 김성욱 서울아트시네마 프로그램디렉터 ..
* 아래의 글은 영상자료원의 2016 사사로운 리스트로 꼽은 열편의 영화에 대한 글이다. 무엇보다 내가 감동한 '초콜릿 케이크와 호류지'에 대한 마음의 글. 지금 말하려는 것은 누구에게나 있을 지극히 사적인 영화들의 목록이다. 만들고 싶은 영화, 꿈꾸는 영화들, 마음으로 두고 싶은 영화들이 있기 마련이다. 이 열 편의 작품은 굳이 말하자면 각별히 올해 내 마음에 다가왔던 영화들이다. 그러니 작품을 평가하거나 가치를 나열할 생각 대신에 마음이 동했던 몇 가지 이유들을 적으려 한다. 먼저, 최근에 세상을 떠난 두 작가의 영화들이 떠오른다. 마누엘 드 올리베이라의 (1993), 그리고 샹탈 아커만의 (2015). 이 두 편의 영화는 서울아트시네마에서 기획한 추모전의 일환으로 상영했다(사실 이들을 추모한다는..
2017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2017 Cinematheque Friends Film Festival 1월 19일(목)부터 2월 22일(수) ▣ 2017 시네마테크의 친구들의 선정작 •구로사와 기요시 영화감독 (더글라스 서크, 1955) (리처드 플레이셔, 1968) (샘 페킨파, 1970) (조셉 로지, 1976) (스티븐 스필버그, 2005) •김우형 촬영감독 (스티븐 스필버그, 1975) •김의성 배우&최동훈 영화감독 (J. 리 톰슨, 1962) •김주혁 배우 (알레한드로 곤잘레스 이냐리투, 2003) •박홍열 촬영감독 (크리스 마르케, 1963) •서동진 교수 (키들랏 타히믹, 1977) •윤가은 영화감독 (폴 토마스 앤더슨, 1999) •윤여정 배우 (마이크 리, 1988) •이경미 영..
2005년, 서울아트시네마에서 열린 대만영화제에 참석한 차이밍량은 감독 자신이 직접 표를 파는 행위에 나섰다고 말했다. 관객을 찾아나서는 모험을 벌이는 중이라는 것이다. "대부분의 관객들은 내 영화가 어떤 영화인지 알려고 할 뿐 영화를 제대로 보지 않는다." 그는 동시대 대만 관객들이 영화가 ‘보는 예술’임을 제대로 알지 못한다고 말한다. "내 영화의 시사회장은 다른 영화들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를 보인다. 대부분의 시사회장에서는 영화가 끝난 뒤 우레와 같은 박수가 있거나 야유가 뒤따른다. 하지만 내 영화를 본 관객들의 반응은 대부분 느리다. 그리고 영화에 대해 어떻게 반응해야 할지 어쩔 줄 몰라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차이밍량은 “제발 내 영화를 눈으로 보아 달라”고 호소했다.그로부터 대략 십년이 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