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시네마테크 공모
- 시네바캉스
- 하워드 혹스
- 배창호
- 영진위
- 최후의 증인
- 오승욱 영화감독
- 버스터 키튼
- 이두용
- 에릭 로메르
- 2008시네마테크의친구들영화제
- 최선의 악인들
- 류승완
- 서울아트시네마
- 페데리코 펠리니
- 고다르
- 박찬욱
- 오즈 야스지로
- 배창호 영화감독
- 아녜스 바르다
- 시네마테크
- 김성욱
- 프랑수아 트뤼포
- 시네마테크 사태
- 웹데일리
- 존 카사베츠
- 존 포드
-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 오승욱
- Today
- Total
목록영화일기 (288)
CINEMATHEQUE DE M. HULOT
4년전인 2016년 1월28일. 열한 번째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에 허우시엔 감독을 초대해 행사를 했었다. 2015년엔 하우 샤오시엔 감독의 대규모 회고전을 이미 개최한 바 있고, 당시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에서는 개봉작인 ‘자객 섭은낭’외에 그가 선택한 두 편의 영화, 로베르 브레송의 ‘무셰트’와 나루세 미키오의 ‘부운’을 상영했고 이창동 감독과의 대담이 있었다. 지난해 비정성시는 공개 30주년을 맞았고, 이 작품을 기념하는 행사를 서울아트시네마에서 계획하고 싶었지만 올해로 미뤘던 차, 실은 한국에서의 개봉은 1990년 1월 이맘때쯤이었으니, 한국에서는 올해가 공개 30주년을 맞았다. 당시 나는 전방의 초소에서 친구에게 개봉 소식을 들었고, 나중에 출시된 비디오로 이 영화를 처음 접했던 기억..
‘사티리콘’에 출연했던 도널드 서덜랜드는-이번에 상영한 ‘네버엔딩 펠리니’의 끝무렵에 그가 읊조리는 펠리네에 대한 기억의 시적인 표현도 인상적이다-펠리니를 오손 웰스와 견주어 두 감독이 그 자신의 표면성에 끊임없이 위협을 받으며, 그것으로부터 도망치고 있었다고 말한바 있다. 가령, 오손 웰스는 자기 자신에 대한 거짓말을 만들어냈지만, 그것이 자신이 만들어낸 거짓말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고, 일단 모두가 그것을 믿게 되자, 그것을 더 이상 받아들일 수 없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것이다. 펠리니는 “나에게는 가장 진짜인 것들이 내가 발명한 것들이다”라고 말했었다. 펠리니의 솔로 데뷔작 ‘백인 추장’은 전작 ‘바리에테의 등불’과 마찬가지로 상업적 실패작이었고, 그의 성공은 예기치 않게 세 번째 작품 ‘비텔로니’..
“나는 ‘두부 장수’이니 두부밖에 만들지 못한다. 같은 사람이 그렇게 여러 가지 영화를 만들 수는 없는 법이다. 뭐든지 갖춰져 있는 백화점 식당에서 맛있는 요리를 맛볼 수 없는 것과 비슷한 이치다. 남들에게는 똑 같은 것처럼 보여도, 나 자신은 매번 제각각 새로운 것을 표현하고 새로운 흥미를 품고서 작품에 임하고 있다.” - 오즈 야스지로 오즈 야스지로 감독의 의 촬영시, 사진 910매가 발견되어 도쿄에서 전시중이라고 한다. 오즈 예술의 비밀, 영화 촬영의 막후를 알 수 있는 귀중한 자료라고. 오즈의 영화는 대체로 잘 알려져 있다지만, 여전히 비밀스럽다. 때마침 2020년,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가 준비한 새해 첫 프로그램은 ‘미지의 오즈 야스지로 특별전(Un)known Ozu Yasujiro’이다. ..
시네마테크 서울아트시네마 F 시네마 필름 상영 워크숍 (2.11-13) 이번 ‘15주년 시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를 준비하면서 마련한 특별한 행사, 필름 상영의 지속을 위한 워크숍과 포럼, 오즈 야스지로의 무성영화와 나루세 미키오의 영화를 35mm필름으로 상영하는 행사를 알려드립니다. 21세기에 들어서 급속하게 디지털화가 진행되면서 영화관에서 필름 영사기가 사라지고 필름으로 영화를 볼 기회는 점점 감소해왔습니다. 특별히, 2013년 이래로 멀티플렉스는 물론 예술영화관에서도 35미리 필름 영사기의 철수로 필름상영은 사라지게 되었습니다. 필름 영사기 관련업체, 필름 현상소 또한 문을 닫았고, 이에 한국에서 필름상영은 서울아트시네마를 포함한 몇 군데에서만 이루어지고 있을 뿐입니다. 필름상영의 사라짐은 필름을 ..
“당신에게 길을 안내해 주는 사람들, 그 길을 알고 있다는 사람들 모두가 나는 무섭다. 왜냐하면 정말-그리고 나는 이것에 대해 깊이 확신하고 있기 때문에-그 누구도 몇 가지 예외를 제외하고는, 정말 알지 못한다고 굳게 믿고 있기 때문이다. 불행히도 그런 (알고 있다고 믿는) 사람들의 행동은 보통 2차 세계대전이나 스탈린주의 같은 비극으로 끝난다. 나는 스탈린과 히틀러가 그들이 무엇을 해야 하는지 정확히 알고 있었다고 확신한다...” - 키에슬로프스키 “다큐멘터리는 단순히 사건들을 기록하지 않아요. 만일 그렇게 한다면 너무 지겹겠죠. 다큐멘터리는 항상 실제 사건과 자신의 관계에 대한 제작자의 탐구이죠. 이게 다큐멘터리이죠. 그래서 ‘데칼로그’에는 다큐멘터리적인 요소가 없어요. 아무 것도 실제로 일어난 건 ..
지난해 11월, 도쿄의 이미지포럼을 방문했을때 극장에서는 ‘아사코’의 개봉에 맞춰 하마구치 류스케의 ‘초기 작품선’을 소개하는 특별전이 개최되고 있었다. 그 때의 특별전에서는, 지난 5월, 서울아트시네마에서 개최한 ‘하마구치 류스케 회고전’에서 상영한 초기 장편외에도, 좀처럼 접할 기회가 없었던 중단편 영화들이 소개됐다. 서울의 회고전 때에 그의 초기 중단편을 이후 상영할 계획이라 약속했는데, 이번 ‘짧고 굵은 아시아 단편 영화제’에서 일본 단편 프로그램을 의뢰받게 되면서 그 때의 약속을 실현할 기회를 얻게 됐다. (2009)는 일종의 스크루볼 코미디로 이 장르가 통념과는 달리 행복한 결혼의 완결된 서사가 아니라 커플들에게 미지의 성취로 남는 사랑의 문제에 장르의 특별함이 있다면, 그리고 이 장르가 커..
“나는 지금 영화를 만들지 않고 있고, 완전히 포기해버렸습니다. 그렇게 말하고 싶습니다, 포기했다고. 내가 말하는 것은 앞으로 더 이상 영화를 찍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것은 건강상의 이유만은 아닙니다. 아마도 내 안에서 무언가가 부서지고, 무언가가 끝났고, 더 이상 하고 싶지 않고, 많은 것이 마음에 들지 않습니다. 내가 늘 싫어했던 것, 즉 영화에 수반하는 모든 것, 그것은 본디 내 일이 아닌 것이지만, 오늘날 그들이 말하는 이 (영화)산업에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그리고 영화를 산업이라 하지 않고 그저 ‘예술’이라 부르며 익히던 시절조차, 이런 것들은 지금과 다름 없이 존재하고 있었습니다. 나는 그것을 견뎌내고, 그것을 비켜서 왔습니다. 이 일을 좋아했던 나머지, 그 속에서 역겨워하는 모든 것..
‘마지막 소비에트 영화, 혹은 첫번째 포스트-소비에트 영화’로 불리는 ‘무기력 증후군’(1989)은 키라 무라토바의 알려진 대표작이다. 선입견으로 보자면 80년대 영국의 무기력을 포착한 마이크 리의 ‘네이키드’(1994) 혹은 샹탈 아커만의 ‘동쪽’(1993) 혹은 벨라 타르의 영화들이 떠오르기도 하지만, 그건 영화를 본 후에 이 낯선 영화에 익숙해지려는 부질없는 시도처럼 보일 뿐 극장에서 이 영화를 마주한다면, 절대적으로 자유를 구가한 일종의 ‘반-영화Anti-cinema’, 실은 극장에서 ‘잠자는 남자’에 관한 급진적 영화라는 생각이 들게한다. 첫번째 에피소드가 진행된 대략 40분후에 시작하는 두 번째 에피소드-차라리 영화속 영화라 말하는 것이 좋겠다. 이런 구분이 적당치 않다는 것은 영화를 보면 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