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존 카사베츠
- 김성욱
- 시네마테크 사태
- 배창호 영화감독
- 배창호
- 웹데일리
- 아녜스 바르다
- 오승욱 영화감독
- 서울아트시네마
- 최후의 증인
- 시네마테크의 친구들 영화제
- 최선의 악인들
- 존 포드
- 에릭 로메르
- 오승욱
- 류승완
- 시네바캉스
- 프랑수아 트뤼포
- 영진위
- 페데리코 펠리니
- 2008시네마테크의친구들영화제
- 박찬욱
- 오즈 야스지로
- 시네마테크
- 버스터 키튼
- 안드레이 타르코프스키
- 이두용
- 하워드 혹스
- 시네마테크 공모
- 고다르
- Today
- Total
목록2024/12 (6)
CINEMATHEQUE DE M. HULOT
“신비주의는 이성, 언어, 그리고 우리가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의 한계를 넘어서는 영역으로 우리를 이끕니다. 그것은 영화와 매우 가까운 영역으로 우리를 인도합니다. 저는 영화가 바로 그 영역을 탐구하고 표현할 수 있다고 믿습니다. 그래서 자연스럽게 저는 신비주의에 끌립니다. 그러나 그것은 또한 복잡한 영역입니다. 저는 종교적인 사람은 아닙니다. 신자라고도 할 수 없지만, 저는 은혜와 거룩함, 신성함에 대해 믿습니다. 제게 그것들은 인간적인 가치로 다가옵니다.” - 브루노 뒤몽2025년 시네마테크의 첫 프로그램은 ‘브루노 뒤몽’ 특별전입니다. 종종 ‘도발적’인 감독으로 알려져 있지만, 브루노 뒤몽은 자신이 관심있는 것이 도발이 아니라, 관객에게 놀라움을 선사하는 것이라며, 예술가의 역할이 우리의 시선에 새로..
DMZ 국제다큐멘터리 영화제에서 발간한 ‘2024 한국 다큐멘터리 창작자 실태조사’ 보고서를 읽었다. 다큐멘터리 제작의 어려움에 더해, 배급의 어려움을 토로하는데, 이를 극복하는 방식으로 영화제나 극장 중심의 배급이 아닌 다양한 배급 방식을 찾고 OTT 진출이 더 많아지기를 기대한다는 의견이 많아 보인다. 극장 배급에 비용 부담이 많고, 개봉관이 적고, 관객이 적은 것이 문제다. 예전 읽었던 프랑스 다큐멘터리 제작자의 인터뷰가 생각났는데, 그는 프레데릭 와이즈만을 제외하자면 지금 다큐멘터리 제작자들이 완전히 시대착오적인 시대에 살고 있다고 말했다. 가령, 와이즈만 감독은 신작 (2023)을 팬데믹 기간에 우연히 들린 레스토랑에서 셰프와 이야기를 나누다 영화 제작을 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는 식사 후에 테..
이명세 감독은 앤솔로지 프로젝인 의 바탕에는 “영화에 대한 초심으로 돌아간다”라는 생각이 있었다고 말했다. 의 마지막 단편 의 시대적 배경이 1979년인 것은 그런 점에서 이해 가능하다. 이 영화는 블랙 화면에 뇌성과 같은 총성 소리와 함께 ‘1979년 한 발의 총성이 어둠을 꿰뚫었다. 그러나, 어둠은 끝나지 않았다’라는 자막으로 시작한다. 1979년은 이명세 감독이 영화학교를 졸업하고 김수용 감독의 연출부로 들어가 영화를 시작한 해이기도 하니, 새로운 시대와 영화의 시작이라는 이중적인 의미가 있다. 누아르 풍의 이 영화에서 도시 난민, 범법자, 추방자의 거리인 지하세계 디아스포라 시티에는 핍홀(Peephole)기계가 있는데, 이 기계덕분에 에디슨의 키네토스코프처럼 그 구멍을 통해 흘러가는 연속적인 이..
황벼리 작가의 ‘믿을 수 없는 영화관’을 재밌게 읽었다. 영화관이 배경일 뿐만 아니라, 주인공 풀잎이 극장 노동자이기에 극장 일을 하는 사람이라면 흥미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 풀잎은 처음엔 극장 영사기사로 일했다. 영사실은 보이지 않은 곳에 숨어 있는, 엄청나게 시끄럽고 어둡고 답답한 곳이었다. 하지만, 웬지 아늑한 기분이 들었던 영사실이 좋아 그녀는 쭉 그곳에 있었다. 비록 필름 영사기는 구경도 못한, 이른바 ‘스위치 기사‘였지만 영사실 일은 그래도 평판이 좋은 직업이었다. 풀잎은 영사실에서 일하면서 어떤 영화를 상영하고 있다는 것을 몸으로 느낄 수 있다는 것에 즐거워했다. 그러다 영사실이 무인화되면서 풀잎은 음료수와 팝콘을 파는 극장 매니저 일을 하게 되었다. 조용한 전락의 과정이다. 사실 극장일..
"10년, 20년이 지나도 여전히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계속한다는 것은 정말 대단한 일입니다. 저는 처음에 큰 재능을 가지고 시작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추진력을 잃은 영화 제작자들을 많이 봤습니다. 그들이 열정이 소진됐다고 말하는게 아닙니다. 결국 시스템과의 싸움에서 지게 되는 것이죠. 그게 핵심입니다. 화가가 되든 건축가가 되든, 시스템과 싸우는 건 결국 그 시스템에 동참하고 싶다는 의미일 뿐입니다. 그래서 자신이 좋아하는 일을 계속하는 것, 시간이 얼마나 걸리든 상관없이 꾸준히 참여하고 관심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규범과 할리우드 시스템 바깥에서 영화를 만들고자 했던 존 카사베츠의 작업을 시스템과의 전쟁으로만 여기는 것은 지나치게 이념적으로 단순화하는 행위일 것이다. 카사베츠의 말대로 시스템과..
“지난 60년 동안 세계는 크게 변했습니다. 영화는 더 이상 과거처럼 사회적 공간을 차지하지 않습니다. 이제 영화는 매우 다른 방식으로 제작되고 소비됩니다. 영화 이미지는 디지털화되어 텔레비전, 컴퓨터, 태블릿, 휴대전화 등 다양한 기기에서 방영됩니다. 점점 더 소비 개념에 근접한 유형의 수신을 선호합니다. 사용자와 시청자에 대해 그렇게 많이 이야기하는 것이 이상한 일이 아닙니다. 저는 그들을 존중할 수는 있겠지만, 그들의 취향이 제 작업의 기준은 아닙니다.“빅토르 에리세의 신작 를 보고 자연스럽게 을 떠올리고 있었다. 은 미스터리로 가득한 미완결된 작품이다. 미완성은 에리세 영화의 특징이기도 한데, 에리세는 자신이 만드는 영화에는 항상 만들지 못한 영화의 그림자가 있다고 말했다. 는 그런 미완의 프로젝..